2023-24년 AFC 챔피언스리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23-24년 AFC 챔피언스리그는 아시아 축구 연맹(AFC)이 주관하는 클럽 대항전으로, 2023년 9월부터 2024년 5월까지 진행되었다. 참가 자격은 AFC 클럽 랭킹에 따라 결정되며, 서아시아와 동아시아 지역으로 나뉘어 각 지역 상위 12개 협회가 참가한다. 조별 리그는 각 지역별 5개 조로, 16강부터 결승까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된다. 대한민국에서는 울산 HD FC, 전북 현대 모터스, 포항 스틸러스, 인천 유나이티드가 참가했으며, 울산 HD FC는 결승에 진출하여 알아인 FC와 경기를 치렀다. 알아인 FC 소속 수피안 라히미가 13골로 최다 득점 선수가 되었다.
2023-24년 AFC 챔피언스리그 참가권 배정은 최근 4년간 각 국가 축구협회 소속 클럽들의 AFC 주관 대회 성적을 토대로 한 AFC 클럽 랭킹에 따라 결정되며, 2020년 대회 성적은 랭킹 계산에서 제외되었다. AFC 회원 협회는 서아시아 축구 연맹(WAFF), 중앙아시아 축구 연맹(CAFA), 남아시아 축구 연맹(SAFF) 소속의 서아시아 지역과 동아시아 축구 연맹(EAFF), 아세안 축구 연맹(AFF) 소속의 동아시아 지역으로 나뉘어 참가한다. 각 지역 상위 12개 협회는 AFC 챔피언스리그 참가 기준을 충족하면 참가 자격을 얻는다. 조별 리그에는 각 지역별로 5개 조, 총 40개 팀(본선 직행 32팀 + 플레이오프 통과 8팀)이 참가한다.
2. 참가권 배정
각 지역의 AFC 랭킹 최상위 10개 협회는 최소한 1개의 본선 직행 티켓을 보유하게 되며, 세부적인 배정 방식은 다음과 같다.
전 시즌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팀과 AFC컵 우승팀은 자국 리그 성적으로 챔피언스리그 참가 자격을 얻지 못해도 각 1장의 플레이오프 티켓을 갖는다.
만약 최상위 1~6위 협회 중 AFC 챔피언스리그 참가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협회가 있으면, 그들의 본선 직행권은 플레이오프 참가권으로 전환되고, 포기된 본선 직행권은 특정 기준에 따라 최상위 적격 국가 축구협회에게 재배분된다.
하나의 협회가 가질 수 있는 티켓의 최대 개수는 최상위 리그 참가 팀 수의 1/3과 같다. AFC 클럽 라이선스 소지 팀 중 AFC 챔피언스리그 참가를 거부하는 팀이 있으면, 해당 자리는 취소되며 재배분되지 않는다.[4]
2. 1. 국가별 참가 자격
2023-24년 AFC 챔피언스리그의 국가별 참가 자격은 AFC 클럽 랭킹에 따라 결정된다. 2021년 11월에 발표된 랭킹은 2018년부터 2021년까지 각국 클럽들의 AFC 챔피언스리그와 AFC컵 성적을 기준으로 한다.[41] 2020년 대회 성적은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랭킹 계산에서 제외되었다.[4]
참가 자격 배분 방식 (요약):
순위 | 본선 직행 티켓 | 플레이오프 티켓 | 비고 |
---|---|---|---|
1, 2위 | 3장 | 1장 | rowspan="5"| |
3, 4위 | 2장 | 2장 | |
5위 | 1장 | 2장 | |
6위 | 1장 | 1장 | |
7~10위 | 1장 | 0장 | |
11, 12위 | 0장 | 1장 | rowspan="2" style="text-align:left" | |
상세 배분 방식:
- 각 지역 상위 12개 협회는 AFC 챔피언스리그 참가 기준을 충족하면 대회에 참가할 수 있다.
- 각 지역은 조별 예선에서 5개 조로 나뉘며, 총 16개의 본선 직행 티켓과 4개의 플레이오프 티켓이 배분된다.
- AFC 랭킹에 따른 각 지역별 협회 출전권 배분은 다음과 같다.[6][7]
- 각 지역 1위와 2위 협회: 본선 직행 3장 + 플레이오프 1장
- 각 지역 3위와 4위 협회: 본선 직행 2장 + 플레이오프 2장
- 각 지역 5위 협회: 본선 직행 1장 + 플레이오프 2장
- 각 지역 6위 협회: 본선 직행 1장 + 플레이오프 1장
- 각 지역 7~10위 협회: 본선 직행 1장
- 각 지역 11, 12위 협회: 플레이오프 1장
- 전 시즌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팀과 AFC컵 우승팀은 자국 리그 성적과 관계없이 플레이오프 티켓 1장을 받는다.
2023-24 시즌 AFC 챔피언스리그 참가 협회:
랭킹 | 회원 축구협회 | 점수 | 참가팀수 | ||
---|---|---|---|---|---|
조별 리그 | 플레이오프 | ||||
1 | 1 | 사우디아라비아 | 3 | 1 | |
2 | 4 | 이란 | 3 | 1 | |
3 | 5 | 카타르 | 2 | 2 | |
4 | 6 | 우즈베키스탄 | 2 | 2 | |
5 | 8 | 아랍에미리트 | 1 | 2 | |
6 | 10 | 요르단 | 1 | 1 | |
7 | 12 | 타지키스탄 | 1 | 0 | |
8 | 13 | 이라크 | 1 | 0 | |
9 | 16 | 투르크메니스탄 | 1 | 0 | |
10 | 17 | 인도 | 1 | 0 | |
11 | 18 | 레바논 | 0 | 0 | |
12 | 21 | 방글라데시 | 0 | 1 | |
(18) | (34) | 오만 | 0 | 1 | |
합계 | 16 | 11 |
랭킹 | 회원 축구협회 | 점수 | 참가팀수 | ||
---|---|---|---|---|---|
조별 리그 | 플레이오프 | ||||
1 | 2 | 대한민국 | 3 | 1 | |
2 | 3 | 일본 | 3 | 1 | |
3 | 7 | 중국 | 2 | 2 | |
4 | 9 | 태국 | 2 | 2 | |
5 | 11 | 홍콩 | 1 | 2 | |
6 | 14 | 베트남 | 1 | 1 | |
7 | 15 | 북한 | 0 | 0 | |
8 | 19 | 필리핀 | 1 | 0 | |
9 | 20 | 말레이시아 | 1 | 0 | |
10 | 23 | 오스트레일리아 | 1 | 0 | |
11 | 24 | 싱가포르 | 1 | 0 | |
12 | 26 | 인도네시아 | 0 | 1 | |
합계 | 16 | 10 |
2. 2. 대한민국 클럽의 참가
대한민국은 AFC 클럽 랭킹 동아시아 지역 1위를 기록하여, 3장의 본선 직행 티켓과 1장의 플레이오프 티켓을 확보하였다.[4]3. 참가 클럽
AFC 챔피언스리그 참가 클럽은 AFC 클럽 라이선스를 획득해야 하며, 자국 리그에서 일정 순위 이상의 성적을 거두어야 한다. 2023-24년 AFC 챔피언스리그에는 동아시아와 서아시아 지역으로 나뉘어 각 지역 랭킹 상위 12개 협회들이 참가한다. 각 지역은 5개 조로 구성되며, 16개 팀은 본선 직행, 4개 팀은 플레이오프를 통해 본선에 진출한다.[35][36]
- 참가 협회 배분 기준:
- 최근 4년간 각 국가 클럽들의 대륙 대회 성적을 토대로 랭킹을 산정한다. (2020년 대회 성적은 제외)
- 서아시아 지역: 서아시아 축구 연맹(WAFF), 중앙아시아 축구 연맹(CAFA), 남아시아 축구 연맹(SAFF) 소속 25개 협회
- 동아시아 지역: 동아시아 축구 연맹(EAFF), 아세안 축구 연맹(AFF) 소속 22개 협회
- AFC 랭킹 상위 12개 협회는 AFC 챔피언스리그 참가 기준 충족 시 참가 가능
- 각 지역 상위 10개 협회는 최소 1장의 본선 직행 티켓 확보
- 티켓 배분 방식:
- 각 지역 1, 2위 협회: 본선 직행 3장, 플레이오프 1장
- 각 지역 3, 4위 협회: 본선 직행 2장, 플레이오프 2장
- 각 지역 5위 협회: 본선 직행 1장, 플레이오프 2장
- 각 지역 6위 협회: 본선 직행 1장, 플레이오프 1장
- 각 지역 7~10위 협회: 본선 직행 1장
- 각 지역 11, 12위 협회: 플레이오프 1장
- 추가 참가권:
- 전 시즌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팀과 AFC컵 우승팀은 자국 리그 성적과 관계없이 플레이오프 참가권 1장 획득
동아시아 지역의 경우, 대한민국 K리그1에서는 울산 현대, 전북 현대 모터스, 포항 스틸러스가 본선에 직행했고, 인천 유나이티드가 플레이오프를 통해 본선에 진출했다. 일본 J1리그에서는 요코하마 F. 마리노스와 가와사키 프론탈레가 본선에 직행했고, 반포레 고후 (천황배 우승팀)와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2022년 대회 우승팀)가 각각 본선과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3. 1. 서아시아 지역
협회리그